카테고리 없음

7월 바이오 관련주 대장주는 누가 될까?

정보다모아요 2025. 7. 2. 19:50
반응형

7월 바이오 관련주 대장주는 누가 될까?

6월 시장을 뜨겁게 달군 바이오 테마, 7월에도 판도는 쉽게 바뀌지 않을 듯합니다.

그런데, 같은 종목이라도 분위기와 이슈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7월엔 어떤 종목이 다시 급등할지, 지금부터 하나씩 확인해보세요.

 

🔹 핵심요약

 

 

 

 

 

 

 

 

 

🔬 급등률 1위, ‘지에프씨생명과학’ – 신규 상장의 힘

2025년 6월 초, 코스닥 시장에 새롭게 상장된 ‘지에프씨생명과학’은 단숨에 주목을 받았습니다.
상장 당일 공모가(6,500원) 대비 100% 이상 급등하며 시가총액은 1,700억 원을 돌파했죠.
이 기업은 화장품 소재와 임상 위탁시험(CRO)을 전문으로 하며, 최근 고기능성 바이오 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공모 당시 수요예측 경쟁률은 무려 1,443대 1. 기관 투자자들이 몰리면서 이미 상장 전부터 흥행 조짐을 보였는데요.
실제로 상장 당일, 투자 심리는 폭발했고, 이후 이틀간 10% 조정이 오긴 했지만 여전히 관심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 남은 이슈
- 보호예수 해제 비율 14%, 유통 가능 물량 41%
- 차익 매물 출회 여부가 단기 주가 변수
- 하반기 신규 기술 발표 일정 주목

🧬 ‘유틸렉스’ – CAR-T 치료제 기대감에 탄력

두 번째 주인공은 ‘유틸렉스’입니다.
이 종목은 6월 말 기준 약 25% 상승하며 단기 상승 랠리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그 중심에는 항암 CAR-T 치료제 후보물질 ‘EU307’이 있습니다.

‘EU307’은 간암을 대상으로 한 치료제로 현재 일본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이며, 아시아태평양간암학회(APPLE)에서 중간 결과 발표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전임상에서 ‘종양 완전 관해(complete response)’가 확인되면서, 투자자들은 다음 임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죠.

📌 남은 이슈
- 7월 APPLE 학회 중간 발표 일정
- 내년 상반기 본격 임상 1상 결과 공개
- 글로벌 파트너십 가능성

💊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 글로벌 협력과 신약 기대감

6월 중반부터 가파른 반등세를 보인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주가가 약 24% 상승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습니다.
이 기업은 싱가포르 기반의 바이오의약품 기업으로, 바이오시밀러 ‘투즈뉴(Tuznue)’와 췌장암 치료 신약 ‘PBP1510’을 주력 파이프라인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급등의 핵심은 미국 BIO-USA 참가를 통한 글로벌 협력 발표입니다.
이 자리에서 미국 ‘Teva’와의 공급계약, CDMO(위탁생산) 협력 확대가 공개되며 기대감이 상승했죠.
특히 췌장암 신약 PBP1510은 미국 임상에서 안전성 입증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하반기 발표 일정이 최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남은 이슈
- PBP1510 미국 초기 임상 데이터 발표 예정
- Tuznue 유럽 상업화 속도 (승인 후 실매출 시점)
- CDMO 파트너십 후속 계약 가능성

🧪 ‘신풍제약’ – 피라맥스 특허 이슈로 재조명

한때 ‘코로나 치료제 테마주’로 불리며 이슈가 되었던 신풍제약이 최근 다시 상승세에 들어섰습니다.
6월 중 유럽에서 피라맥스의 ‘코로나 예방 및 치료’ 관련 특허를 취득하며, 단숨에 약 30% 급등했습니다.

피라맥스는 원래 말라리아 치료제로 허가된 의약품으로, 코로나 팬데믹 당시 긴급사용 가능성으로 주목받았으나 이후 효과 논란으로 잠잠해졌었죠.
그러나 유럽에서 특허를 확보하면서 다시금 시장의 관심이 몰린 상황입니다.

📌 남은 이슈
- 피라맥스 국내외 임상 결과 보완 여부
- 치료 효과에 대한 의학적 데이터 확보
- 특허 기반 해외 진출 확대 가능성

🔬 ‘에이비온’ – 1.8조 기술수출로 ‘상한가 3연속’

마지막 주인공은 단연 ‘에이비온’입니다.
이 종목은 6월 말, 단숨에 상한가를 3일 연속 기록하며 30% 이상 폭등했습니다.
주가를 끌어올린 것은 바로 1조 8,000억 원 규모의 기술수출 계약 소식이었습니다.

‘ABN501’이라는 고형암 항체 치료제 후보 물질이 이번 계약의 핵심입니다.
계약 상대방은 비공개지만, 글로벌 제약사와의 선급금 340억 수령까지 포함되어 있어 단기적으로 강한 매수세를 유도했습니다.
또한, 에이비온은 그간 적자 기조를 이어온 만큼, 이번 계약을 계기로 실적 개선 기대도 커지고 있죠.

📌 남은 이슈
- 후속 마일스톤 실현 일정
- 실제 수익 반영 시점
- 법인세 차감 전 손실구조 개선 여부

종목명 핵심 이슈 유의 사항
지에프씨생명과학 신규상장, IPO 흥행 유통물량 과다, 오버행 리스크
유틸렉스 CAR‑T 임상 발표 학회 발표 시점, 성과 확인 필요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글로벌 협력, CDMO 실질 수익화까지 기간 필요
신풍제약 특허 획득 전임상 수준, 검증 부족
에이비온 기술수출 계약 손실구조 개선 여부 핵심

📌 투자 팁
- 단기 급등주일수록 모멘텀 일정 확인은 필수
- 상승한 만큼 차익 실현 욕구도 커지므로 거래량 체크
- 공시 및 보도자료 출처 확인은 가장 중요한 투자 습관

 

0123

반응형